비례상수
“비공개자가 나보다 잘했을 확률”을 줄이는 보정치입니다.
[참조]
지원한 대학교/학과가 상위권으로 갈수록 낮게, 하위권으로 갈수록 높게 조정해 보세요.
기본값은 중립적으로 0.5 에 맞춰 놓았습니다.
최저충족률
지원자 중 수능 최저 기준을 충족한 비율입니다.
수능최저가 적용되는 전형의 경우, 최저충족률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최저충족률이 높을수록 많은 지원자가 기준을 충족하고 경쟁이 치열하며,
낮을수록 기준이 엄격해 일부만 충족하고 실질 경쟁률이 낮아집니다.
본인이 최저충족률을 맞추면 합격 확률이 한층 높아집니다.
실질경쟁률
모집정원 대비 실제 합격 가능성을 반영한 경쟁률입니다.
단순 지원자 수 ÷ 모집정원으로 계산한 표면 경쟁률과 달리,
수능 최저 충족 여부, 중복 지원, 결시 등 실제 지원 가능 인원을 반영합니다.
내위치추합률
추가합격 순서가 내 예비번호까지 오려면
추합률이 최소 몇 프로까지는 되어야 하는지를 의미합니다.
낮을수록 유리해요. 최초합격인 경우에는 내위치추합률이 0% 이하이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