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상수란?

“점수를 공개하지 않은 사람들(비공개 지원자)의 성적 분포가,
점수를 공개한 사람들(점공 참여자)과 얼마나 비슷할지”를 보정하는 계수입니다.

쉽게 말하면

점공 공개자 = 보통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올림

비공개자 = 성적이 낮을수록 안 올리는 경향이 있음

그래서 단순히 점공 참여자 분포를 전체 지원자에 곱하면 실제보다 등수가 뒤로 밀려나 버려요.

이때 “비공개자 중 상위권일 확률”을 줄여주는 장치가 바로 비례상수입니다.

즉, 비례상수는 “비공개자가 나보다 잘했을 확률”을 줄이는 보정치에요.

작을수록 “비공개자 대부분은 나보다 낮다”라고 보는 거고,
클수록 “비공개자도 공개자처럼 고르게 분포한다”라고 봅니다.


비례상수 추천값 (현실적 범위)

유형 특징 추천 비례상수 예상 의미
최상위권 (의대·치대·한의대·서울대 인기학과) 점공 참여율 높음, 상위권이 대부분 공개 0.2 ~ 0.3 비공개자는 대부분 하위권 → 점공 순위와 실제 순위 차이 적음
상위권 대학 (연·고·서성한 인기학과) 공개자 중 상위권 비율 높음, 하지만 일부 중위권도 공개 0.3 ~ 0.4 점공 순위보다 약간 뒤로 밀림
중위권 대학 (중경외시, 수도권 인기학과) 공개·비공개가 섞여 있음 0.4 ~ 0.5 점공 순위보다 현실 등수는 좀 더 뒤로
지방 국립·사립 (비인기 학과 포함) 점공 참여율 낮음, 성적 분포 고르게 퍼짐 0.5 ~ 0.6 점공 공개자보다 비공개자의 수준이 크게 다르지 않음
하위권 대학 (지원자 자체가 적은 학과) 점공 참여자 적음, 데이터 왜곡 심함 0.6 이상 사실상 점공 순위와 실제 순위 차이가 큼
본 계산기는 점수공개 자료와 과거 입시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치를 제공할 뿐,
실제 합격 여부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점공 참여자 구성, 모집인원 변동, 경쟁률 변화 등에 따라 결과가 실제와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합격/불합격 여부는 반드시 대학의 최종 발표를 기준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본 계산기의 결과를 입시 지원의 최종 판단 근거로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 주세요.
파파점공계산기 papacalc.com
오늘: 0    어제: 0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