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상수를 적용한 예상 등수 계산식을 적용합니다.
### 계산 항목 ###
비례상수 = 𝑘 (0 ≤ 𝑘 ≤ 1)
최저충족률 = 𝑝 (0 ≤ 𝑝 ≤ 1, 교과 100%와 정시 전형인 경우 1)
총 지원자 수 = 𝑁
점공 공개자 수 = 𝑛
내 순위 (점공 내) = 𝑟
점공 내 나보다 높은 사람 수 = 𝑟 − 1
비공개자 수 = 𝑁 − 𝑛
### 비공개자 중 상위 예상 수 ###
공개자 중에서 나보다 상위를 차지한 비율 = (r − 1) / 𝑛
→ 이 비율만큼 비공개자 중에서도 상위가 있을 거라 추정
→ 여기에 비례상수 𝑘와 최저충족률 𝑝를 곱해 조정 :
비공개 상위 예상 수 = (r − 1) / 𝑛 × (𝑁 − 𝑛) × 𝑘 × 𝑝
### 최종 예상 등수 ###
내 위에 있을 사람 = 공개 상위 × 최저충족률 + 비공개 상위 예상 × 최저충족률 + 1
예상 등수 = (r − 1) × 𝑝 + (r − 1) / 𝑛 × (𝑁 − 𝑛) × 𝑘 × 𝑝 + 1
### 예시 ###
𝑁 = 83
𝑛 = 31
𝑟 = 7
비공개자 = 52명
예상 등수 = (7 - 1) × 𝑝 + (7 - 1) / 31 × 52 × 𝑘 × 𝑝 + 1
즉,
예상 등수 ≈ 6 × 𝑝 + 10.06 × 𝑘 × 𝑝 + 1
𝑘, 𝑝 값에 따른 결과
𝑘 = 0.8일 때 𝑝 = 1 → 약 15등, 𝑝 = 0.7 → 약 11등, 𝑝 = 0.6 → 약 9등, 𝑝 = 0.5 → 약 8등
𝑘 = 0.6일 때 𝑝 = 1 → 약 13등, 𝑝 = 0.7 → 약 9등, 𝑝 = 0.6 → 약 8등, 𝑝 = 0.5 → 약 7등
𝑘 = 0.4일 때 𝑝 = 1 → 약 11등, 𝑝 = 0.7 → 약 8등, 𝑝 = 0.6 → 약 7등, 𝑝 = 0.5 → 약 6등